목록전체 글 (56)
JG Story

1. Stateful vs. Stateless 방화벽 개념1.1 Stateless 방화벽- Stateless 방화벽은 개별 패킷을 독립적으로 검사하여 허용 또는 차단함.- 패킷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으며, 각 패킷을 별도로 분석하여 미리 정의된 필터링 규칙에 따라 처리함. ✅ 특징개별 패킷만을 검사하여 빠른 속도를 제공함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으므로 메모리 사용량이 적음허용된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자동으로 허용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규칙 설정 필요.📌 예제예를 들어, 방화벽에 "80번 포트(HTTP)로 들어오는 패킷을 허용"하는 규칙이 있을 경우, Stateless 방화벽은 들어오는 패킷을 허용하지만, 이에 대한 응답 패킷(예: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가는 응답 패킷)은 별도의 허용 규칙이 없으면..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FLAG 의미?TCP 세그먼트의 헤더에 포함된 특정 비트 필드를 의미하며, 통신 상태와 제어 정보를 나타냅니다.TCP flag를 분석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특정 flag 가 설정된 패킷을 확인하여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것입니다.TCP flag 분석은 네트워크 문제해결, 보안모니터링 및 트래픽 최적화에 매우 중요합니다!주요 TCP flag 와 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1. SYN (Synchronize): 연결 설정 요청을 나타냅니다. TCP 3-way handshake의 시작 부분에서 사용2. ACK (Acknowledgment): 이전에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확인 응답3. FIN (Finish): 연결을 종료하기 위한 ..

일반적으로 select 문을 통한 조회 결과 출력물 - 데이터 길이가 컬럼 할당 크기보다 클 경우 다음 줄에도 표현 됨. ※ 출력 설정 명령어 입력MariaDB > pager less -SFX 적용 후 조회 결과물 출력 BUT!!!출력 결과는 컬럼 별로 정리 되지만, 가로로 남은 컬럼에 대해서는 미출력 되는 부분 확인 가능;; 이때! "\G" 옵션 사용 하여 데이터 세로로 출력되도록 설정! MariaDB > select * from PARAMETERS\G; 상황에 맞게 두가지 방법으로 출력결과 보기 좋게 출력하여 확인해보자! [정리]1. 데이터 크기에 맞게 셀 크기 자동조절 pager less -SFX2. 데이터 컬럼 별 세로로 출력 명령어 끝에 "\G" 입력 ex) select * from..

rp_filter (Reverse Path Filtering) 유입되는 패킷의 source ip 가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패킷을 버림 일반적인 라우팅의 개념으로 수신된 IP 패킷을 외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IP forwarding과 달리 rp_filter의 경우는 패킷이 들어오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출발지 주소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들어오는 패킷을 거절하는 역할을 함. 그렇다면? 리눅스에서 해당기능 관련하여 설정 변경방법을 알아보자! 1. rp_filter 확인 방법 명령어 입력 : sysctl -a | grep rp_filter 2. rp_filter 옵션 별 기능 3. rp_filter 옵션 수정 및 적용 방법 (1) 수정하고자 하는 인..
** LAN ( Local Area Network ) ** ARP Request 패킷이 도달하는 범위의 네트워크 ( Local Area Network ) LAN 통신을 위한 '삼' 테이블 (1) Routing table 목적지 IP 로 가기 위한 next hop 정보 가 등록된 테이블 (2) ARP table Next hop 에 대한 mac address 가 등록된 테이블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 SWITCH에 ARP request 메시지를 보내서 MAC address 알아오도록 함 (3) MAC table 스위치가 ARP request를 수신하면 MAC learning 진행 후, 각 단말(목적지)에 대한 MAC table을 만듦 MAC learning을 하기 위해서 ARP request 패킷을 모든 ..

레이드 구성 > OS deploy 및 부팅 순서 USB 로 설정 > 디스크로 인식된 레이드에 OS 설치 진행 (스크린샷 일부 내용 가려져 있으나, 설정상에는 이상없습니다 ;;ㅜㅜ) (1) 레이드 구성 (2) USB로 OS deploy 진행 > 부팅 순서 변경 (3) OS 설치 진행
KT 기본 DNS 서버 : 168.126.63.1 보조 DNS 서버 : 168.126.63.2 SKT 기본 DNS 서버 : 219.250.36.130 보조 DNS 서버 : 210.220.163.82 LG 기본 DNS 서버 : 164.124.101.2 보조 DNS 서버 : 203.248.252.2 구글 (Google Public) 기본 DNS 서버 : 8.8.8.8 보조 DNS 서버 : 8.8.4.4 CJ헬로비전 기본 DNS 서버 : 180.182.54.1 보조 DNS 서버 : 180.182.54.2 C&M 기본 DNS 서버 : 58.143.140.10 보조 DNS 서버 : 58.143.140.9 온세통신(SHINBIRO) DNS 서버 : 202.30.143.11 DNS 서버 : 203.240.193.11..